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하철 요금 인상

by 혜윰플러스 2025. 7. 2.
반응형

 

2025년 6월 28일부터 서울·경기·인천 지하철 기본요금이 150원 인상돼 1,550원이 되었습니다. 요금표부터 인상 배경, 시민 반응, 부정승차 단속까지 꼭 알아야 할 모든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지하철 요금 변동사항을 확인하려면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하세요.

지하철 사진
출처: unsplash 사진 제공

    목차
1.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28일부터 150원 인상
2. 지하철 요금표 (2025년 6월 28일 기준)
3. 왜 지하철 요금이 올랐을까?
4. 무임승차 문제와 적자 확대
5. 노인 무임승차 제도 개선 논의
6. 부정승차 실태와 단속 강화
7. 시민 반응과 시민단체 목소리
8. 앞으로의 개선 방향은?
9. 요금 인상, 피할 수 없었다면 시민이 이해할 수 있도로록

 

지하철 요금 안내문 바로 다운받기

도시철도 운임조정 안내.jpg
2.11MB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28일부터 150원 인상

지하철 요금 인상, 2025
 . 6.28일부터, 기본요금 1,550원으로 인상 썸네일

2025년 6월 28일, 서울시는 첫차부터 지하철 기본요금을 150원 인상했습니다. 이번 인상은 서울뿐 아니라 같은 요금 체계를 적용하는 인천·경기·코레일 등 수도권 전체 전철에 해당합니다.

  • 성인 교통카드 기준 요금: 1,400원 → 1,550원
  • 현금 기준 요금: 1,500원 → 1,650원

청소년과 어린이 요금도 소폭 인상되었습니다. 조조할인 요금도 함께 인상되어 새벽 시간대 요금도 변동이 있습니다.

지하철 요금표 (2025년 6월 28일 기준)

구분 (원) 교통카드 기준 1회권 기준 조조할인 (교통카드 전용)
  조정 전 → 후 (조정폭) 조정 전 → 후 (조정폭) 조정 전 → 후 (조정폭)
일반 1,400 → 1,550 (150원) 1,500 → 1,650 (150원) 1,120 → 1,240 (120원)
청소년 800 → 900 (100원) 1,500 → 1,650 (150원) 640 → 720 (80원)
       
어린이 500 → 550 (50원) 500 → 550 (50원) 400 → 440 (40원)

※ 조조할인은 첫차~오전 6시 30분까지 교통카드로 탑승 시 적용됩니다.

지하철 요금 안내표 사진
출처: 서울 교통공사 제공

왜 지하철 요금이 올랐을까?

출처: unsplash 사진 제공

 

서울시는 이미 2023년부터 요금 인상 계획을 세웠습니다. 공청회, 시의회 의견 수렴, 물가대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총 300원의 인상안을 마련했고, 1차는 2023년 10월에, 2차는 이번 2025년 6월 28일에 단행했습니다.

📈 요금보다 빨리 오른 적자

서울시에 따르면, 지하철 요금은 지난 20년간 무려 93.8% 인상된 반면, 같은 기간 물가는 56.36% 상승에 그쳤습니다. 결국 지하철 운영비용은 계속 증가하고, 요금 수입만으로는 이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2005년 요금 : 800원
  • 2025년 요금 : 1,550원
  • 20년 간 누적 상승률 : +93.8%

 

무임승차 문제와 적자 확대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매년 약 4,000억 원에 달하는 무임승차 손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고령화로 인해 무임승차 인원이 늘어나면서, 적자는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 서울교통공사 부채 : 2023년 6조 8,300억 원 → 2024년 7조 3,400억 원
  • 2024년 당기 순손실 : 약 7,241억 원
  • 무임승차 손실 추정 : 연 4,000억 원

출처: unsplash 사진 제공

노인 무임승차 제도 개선 논의

지하철 운영 적자 해소를 위해 무임승차 연령 조정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회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 무임승차 연령 상향 찬성 : 64%
  • 적정 연령 기준 : 만 70세 이상

하지만, 제도 변경은 정치적 부담과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아직 확정된 바는 없습니다.  

 

부정승차 실태와 단속 강화

출처: unsplash 사진 제공

서울교통공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부정승차 적발 건수는 약 17만 건에 달합니다. 하루 평균 150건 이상 발생하는 셈입니다.

  • 부정승차 유형:
    • 무표 미신고
    • 타인 명의 우대권 사용
    • 할인 대상자 허위 사용

적발 시 부가운임은 기본 운임의 최대 30배까지 부과되며, 형사 고발 및 민사 소송도 진행됩니다.

✅ 예시: 67세 어머니 명의 교통카드 414회 사용한 40대 남성 → 1,800만 원 부가운임 판결

출처: unsplash 사진 제공

 

 

시민 반응과 시민단체 목소리

출처: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 제공

시민사회단체는 이번 인상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공공교통네트워크, 서울환경연합 등은 대통령실 앞에서 요금 인상 철회 시위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 “공공성이 강화돼야 한다”
  • “정부 재정 투입이 필요하다”
  • “시민에게 비용 전가 말라”

서울환경연합은 “해외 주요 도시는 대중교통 운영비의 50~70%를 정부가 부담한다”며 한국도 정부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출처: unsplash 사진 제공

앞으로의 개선 방향은?

출처: unsplash 사진 제공

서울교통공사는 기후동행카드 등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는 다양한 제도도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운영 적자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이 필요합니다.

  • 노인 무임승차 제도 개선
  • 정부의 재정 지원 확대
  • 부정승차 단속 강화
  • 시민과의 소통 강화

출처: unsplash 사진 제공

요금 인상, 피할 수 없었다면 시민이 이해할 수 있도로록

출처: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 제공

 

요금 인상은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 시민들의 부담이 커진 것도 사실입니다. 중요한 건 인상 이유를 투명하게 설명하고, 공공성을 해치지 않도록 시스템을 개선하는 일입니다.

 

대중교통은 시민의 발이자, 도시의 기본 인프라입니다. 적자와 운영비 문제는 단지 요금 인상만이 해답이 아니라, 책임 있는 정책 결정과 균형 잡힌 지원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커넥트현대 청주, 입점 오픈

충청 지역에 새롭게 떠오르는 복합 문화 쇼핑몰, 커넥트현대 청주가 6월 27일 공식 오픈합니다. MZ세대를 겨냥한 젠지 감성 콘텐츠부터 무신사, 이케아, 마뗑킴 등 지역 최초 브랜드, 방탈출·피규

hyeyum-plus.com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 지금 받으면 최대 20% 할인!

2025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이 시작됐어요! 전통시장 결제로 최대 20% 혜택을 챙기고, 누적 환급까지 놓치지 마세요. 빠르게 확인하고 참여하시려면 아래 글에서 바로 확인해보세요. 목차1.

hyeyum-plus.com

 

 

반응형